• 데이터베이스 
    : 여러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해서 모아둔 자료의 집합, 관련있는 데이터들의 집합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 데이터를 편리하게 저장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검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는 소프트웨어
    : 데이터베이스의 생성과 관리를 담당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
    : 정의, 조작, 제어 기능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DBS)
    :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일체의 시스템
    : 데이터베이스와 그를 관리하는 소프트웨어(DBMS, 응용 프로그램) 모두를 칭하는 용어
      

  • 스키마(Schema)
    : 데이터 구조와 제약조건에 대한 명세(specification)를 기술하는 것
    : 개체(entity), 속성(attribute), 관계(relationship)에 대한 정의와 이들이 유지해야 될 제약 조건(constraints)을 포함
    : 3단계 데이터베이스 구조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요소




  • 데이터베이스 언어

    - 데이터 정의어(DDL)
     : 스키마를 정의하거나 수정할 목적으로 사용
     : CREATE, ALTER, DROP

    - 데이터 조작어(DML)
     :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 연산을 위한 언어
     : INSERT, UPDATE, DELETE

    - 데이터 제어어(DCL)
     : 
    데이터베이스 내의 데이터를 올바르고 정확하게 유지
     : 보안, 무결성, 데이터 회복, 병행수행


'Major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 SQL  (0) 2015.11.25
데이터베이스 - 관계 대수  (0) 2015.11.25
데이터베이스 - 정규화  (2) 2015.11.24
데이터베이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0) 2015.11.24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 모델  (0) 2015.11.24

엔디언(Endianness)은 컴퓨터의 메모리와 같은 1차원의 공간에 여러 개의 연속된 대상을 배열하는 방법을 뜻하며, 바이트를 배열하는 방법을 특히 바이트 순서(Byte order)라 한다.


엔디언은 보통 큰 단위가 앞에 나오는 
빅 엔디언(Big-endian)과 작은 단위가 앞에 나오는 리틀 엔디언(Little-endian)으로 나눌 수 있으며, 두 경우에 속하지 않거나 둘을 모두 지원하는 것을 미들 엔디언(Middle-endian)이라 부르기도 한다.


Big-Endian Little-Endian


바이트 순서

바이트 순서는 크게 빅 엔디언과 리틀 엔디언으로 나눌 수 있다. 빅 엔디언은 사람이 숫자를 쓰는 방법과 같이 큰 단위의 바이트가 앞에 오는 방법이고, 리틀 엔디언은 반대로 작은 단위의 바이트가 앞에 오는 방법이다.PDP-11과 같은 몇몇 아키텍처는 2바이트 단위와 1바이트 단위로 서로 다른 순서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들을 미들 엔디언이라 부른다. 다음은 이런 방법들을 비교한 것이다.

종류0x1234의 표현0x12345678의 표현
빅 엔디언12 3412 34 56 78
리틀 엔디언34 1278 56 34 12
미들 엔디언-34 12 78 56
또는
56 78 12 34

두 방법 중 어느 한 쪽이 다른 쪽과 비교해 압도적으로 좋거나 나쁘지는 않다고 알려져 있으며, 두 방법은 서로 다른 여러 아키텍처에서 서로 공존하고 있다. 그러나 x86 아키텍처가 리틀 엔디언을 쓰기 때문에, 오늘날 x86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대부분의 데스크톱 컴퓨터는 리틀 엔디언을 쓰며 이를 ‘인텔 포맷’이라 한다. 거꾸로 네트워크에서는 주소를 빅 엔디언으로 쓰는데, 역사적으로 라우팅이 전화를 거는 식으로 접두 부호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의 영향으로 많은 프로토콜과 몇몇 파일 포맷이 빅 엔디언을 사용하고 있다. 모토로라 프로세서들은 일반적으로 빅 엔디언을 사용하며, ARM 프로세서들은 성능 향상을 위해 빅 엔디언과 리틀 엔디언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장단점

빅 엔디언은 소프트웨어의 디버그를 편하게 해 주는 경향이 있다. 사람이 숫자를 읽고 쓰는 방법과 같기 때문에 디버깅 과정에서 메모리의 값을 보기 편한데, 예를 들어 0x59654148은 빅 엔디언으로 59 65 41 48로 표현된다.

반대로 리틀 엔디언은 메모리에 저장된 값의 하위 바이트들만 사용할 때 별도의 계산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32비트 숫자인 0x2A는 리틀 엔디언으로 표현하면 2A 00 00 00이 되는데, 이 표현에서 앞의 두 바이트 또는 한 바이트만 떼어 내면 하위 16비트 또는 8비트를 바로 얻을 수 있다. 반면 32비트 빅 엔디언 환경에서는 하위 16비트나 8비트 값을 얻기 위해서는 변수 주소에 2바이트 또는 3바이트를 더해야 한다. 보통 변수의 첫 바이트를 그 변수의 주소로 삼기 때문에 이런 성질은 종종 프로그래밍을 편하게 하는 반면, 리틀 엔디언 환경의 프로그래머가 빅 엔디언 환경에서 종종 실수를 일으키는 한 이유이기도 하다.

또한 가산기가 덧셈을 하는 과정은 LSB로부터 시작하여 자리 올림을 계산해야 하므로, 첫 번째 바이트가 LSB인 리틀 엔디언에서는 가산기 설계가 조금 더 단순해진다. 빅 엔디언에서는 가산기가 덧셈을 할때 마지막 바이트로부터 시작하여 첫 번째 바이트까지 역방향으로 진행해야 한다. 그러나 오늘날의 프로세서는 여러개의 바이트를 동시에 읽어들여 동시에 덧셈을 수행하는 구조를 갖고 있어 두 엔디언 사이에 사실상 차이가 없다.

바이 엔디언

몇몇 아키텍처는 빅 엔디언과 리틀 엔디언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이를 바이 엔디언(Bi-endian)이라 부른다. ARMPowerPCDEC 알파MIPSPA-RISCIA-64 등은 바이 엔디언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아키텍처이다. 이들 대부분은 컴퓨터가 시작된 상태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바이트 순서를 바꿀 수 있지만, 몇몇은 하드웨어에 내장된 펌웨어에서 바이트 순서를 선택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미들 엔디언

종종 한 방향으로 순서가 정해져 있는 게 아니라, 이를테면 32비트 정수가 2바이트 단위로는 빅 엔디언이고 그 안에서 1바이트 단위로는 리틀 엔디언인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를 미들 엔디언(Middle-endian)이라 한다.VAX와 ARM에서는 배정도 부동 소수점 실수를 미들 엔디언으로 저장하며, PDP-11에서는 32비트 정수를 미들 엔디언으로 저장하는데 이를 PDP 엔디언이라 부르기도 한다.

비트 순서

보통 바이트나 옥텟은 원자적인 단위로 간주되지만 종종 비트 단위의 접근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바이트 순서가 아니라 비트 순서를 따질 수도 있으나, 여러 가지 이유로 비트 순서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 보통 메모리의 접근은 바이트 단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트 단위의 접근에는 별도의 연산 과정이 필요한데, 이러한 연산 자체가 비트 순서에 대해 잘 정의되어 있기 때문에 비트를 접근하는 방법은 아키텍처에 중립적이다.

비트 순서와 비슷하게, 네트워크 프로토콜이나 파일 포맷 같이 저수준으로 내려 갈 경우 비트 단위의 데이터를 최상위 비트부터 채울 것인가 최하위 비트부터 채울 것인가 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C는 구조체에서 바이트보다 더 작은 단위의 변수를 선언할 수 있는 비트 필드를 지원하는데, 여러 개의 비트 필드가 배열되는 방법은 기계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중요해진다. 이때 최상위 비트(MSB)부터 채우는 것을 최상위 비트 우선, 최하위 비트(LSB)부터 채우는 것을 최하위 비트 우선이라 한다. 예를 들어 PNG와 GIF는 각각 최상위/최하위 비트 우선을 쓰는 대표적인 파일 포맷이다.

출처: 위키, http://genesis8.tistory.com/37
    

'Major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 Transport Layer  (0) 2015.12.09
네트워크 - Application Layer  (0) 2015.12.02
네트워크 - 기본  (0) 2015.12.01
MAC address  (0) 2015.11.16
OSI 7 계층  (0) 2015.11.15

MAC 주소

컴퓨터 네트워킹에서 매체 접근 제어 주소(MAC 주소), 이더넷 하드웨어 주소어댑터 주소는 대부분의 네트워크 어댑터(NIC)에 부착된 준고유 식별자이다. 특정한 네트워크 어댑터의 이름같이 동작하는 숫자이다. 그러므로 이를테면, 두 개의 서로 다른 컴퓨터에 있는 랜카드는 서로 다른 이름, 곧 서로 다른 MAC 주소를 가지고 있다. 라우터 안에 있는 여러 개의 랜카드, 같은 컴퓨터 안에 있는 이더넷 어댑터와 무선 어댑터도 이와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그러나 오늘날 출시되는 대부분의 하드웨어에서는 MAC 스푸핑(MAC spoofing)을 통해 맥 주소를 바꿀 수 있다.

MAC은 총 48비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첫 24비트는 OUI(Organizational Unique Identifier) 제조업체의 식별코드 , NIC 제조업체의 정보 24비트를 뺀 나머지 24비트는 랜 카드의 정보를 담고 있다.

다음의 기술들이 MAC-48 식별자 형식을 사용한다:

EUI-64 식별자는 다음에 쓰인다:


컴퓨터가 네트워크상에서 서로를 구분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일종의 주소가 필요하다. 편지를 서로 주고 받기 위해서는 각각의 건물이나 집에서 서로 다른 주소가 필요한 것처럼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이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맥(Media Access Control) 주소이다.
물론 인터넷은 TCP/IP로 통신을 하며 이떄 IP주소를 사용하지만 이 IP주소를 다시 MAC으로 바꾸는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을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라고 한다.

출처: 위키


'Major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 Transport Layer  (0) 2015.12.09
네트워크 - Application Layer  (0) 2015.12.02
네트워크 - 기본  (0) 2015.12.01
Big-endian vs Little-endian  (0) 2015.11.16
OSI 7 계층  (0) 2015.11.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