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상기억장치
     :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 종종 프로그램 전체를 모두 사용하지 않는다.
     :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한 순간에 프로그램 전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 overhead의 단점 때문에, VM은 Real-time(embedded) system에 부적합

    - 프로그램의 일부만 주기억장치에 있어도 실행이 가능하도록 하면 얻을 수 있는 장점
     : 프로그램은 더 이상 물리적 주기억장치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 각 프로그램이 적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동시에 여러 프로그램을 주기억장치에 적재(multiprogramming degree 향상)
     : 프로그램을 적재하는데 걸리는 입출력 비용을 줄일 수 있다.
     : 가상기억장치는 요구 페이징(demand paging)기법을 이용하여 구현한다. 세그먼테이션과 결합하여 사용

  • 요구 페이징
     : 스왑핑 + 페이징을 결합하여 사용
     : 프로세스 전체를 스왑하지 않고, 지연 스왑퍼(lazy swapper = pager)를 사용한다. 이 스왑퍼는 페이지가 필요할 경우에만 적재한다.
     : 주기억장치에 있는 페이지와 디스크에 있는 페이지를 구분하기 위해 유효비트 사용 (1 이면 주기억장치, 0 이면 디스크), TLB, 보호비트, 디스크의 일부분을 스왑 공간으로 사용

     

     ① 접근하는 페이지에 대해 페이지 테이블을 참조하면 유효비트가 현재 0이므로 페이지 결함 트랩(page fault trap) 발생
     ② 트랩이 발생하면 프로세스의 PCB를 검사하여 참조의 유효성을 검사. 즉, 디스크에 있는 페이지에 대한 참조인지 프로세스의 가상 주소 공간을 벗어난 참조인지를 검사한다. 후자이면 프로세스 종료.
     ③ 빈 프레임을 찾는다.
     ④ 디스크 입출력을 이용하여 페이지를 프레임에 적재한다.
     ⑤ 디스크 입출력이 종료되면 프로세스의 내부 테이블과 페이지 테이블을 수정한다.
     ⑥ 페이지 결합 트랩을 발생시킨 명령어를 다시 수행한다.

      ■ Effective Access Time (EAT)

       : (1-p) * Memory Access Time + p * Page Fault Time (p, Page fault rate 0 <= p <= 1)
       : Page Fault Time = page fault overhead + swap page out + swap page in + restart overhead

      ■
     Copy-on-Write
       : 부모 프로세스가 자식 프로세스를 생성할때 부모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을 복사하는 것은 낭비, 변경된 페이지 내용만 복사하고 나머지는 모두 공유

     

  • 페이지 교체
     : 10 페이지 크기의 프로세스가 실제 5 페이지만 사용하면 요구 페이징 기법은 디스크 입출력을 줄일 수 있고, 다중 프로그래밍의 정도를 높일 수 있다.
     : but, 다중 프로그래밍의 정도를 높이면 프레임 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 또한 주기억장치의 모든 프레임을 사용자 프로세스에게 할당해줄 수 없다.
     : 프로세스 종료, 프로세스 스왑 아웃, 페이지 교체 등으로 해결
     - 페이지 교체(page replacement)
       : 적재되어 있는 기존 페이지를 새 페이지로 교체한다.
       : 페이지 결함이 발생할 때 페이지 교체 절차
      

       ① 디스크에서 페이지의 위치를 찾는다.
       ② 빈프레임을 찾는다.
         : 있으면, 거기에 페이지를 적재
         : 없으면,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희생 프레임을 선택한 다음 희생 프레임에 있는 페이지를 디스크에 쓰고, 프레임에 새 페이지를 적재한다. 
       ③ 페이지 테이블과 프레임 테이블을 변경한다.
       ④ 프로세스를 재개한다.
        : 빈 프레임이 없으면 항상 두 번의 디스크 입출력이 필요하다. 디스크 입출력은 변경 비트를 이용하여 줄 일 수 있다.(하드웨어적으로 구현)
        : 제공되어야 하는 두 가지 알고리즘
        - 프레임 할당 알고리즘
          : 한 프로세스에게 할당할 프레임의 수를 결정하는 알고리즘
          : Fixed allocation vs Priority allocation
          : Global allocation vs Local allocation (다른 프로세스의 페이지 vs 자신의 페이지)
  •     -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 빈 프레임이 없을 때 희생자를 선택하는 알고리즘
        
       ■ FIFO (First-In-First-Out)
        : 가장 오래전에 들어온 페이지가 선택
        : Belady의 모순: 프레임 수가 증가하면 페이지 결함 발생 수는 감소해야 정상인데 증가하는 경우가 있음
       ■ Optimal
        : 가장 오래 동안 사용되지 않을 페이지가 희생자로 선택
        : 미래를 예측하기 힘들다
       ■ LRU (Least-Recently Used)
        : 가장 오래전에 참조한 페이지가 희생자로 선택
        : 가장 널리 사용 됨 
       ■ LRU-Approximation
        : 충분한 하드웨어 지원이 없을 경우
        : Additional-Reference-Bits, Second-Chance, Enhanced Second-Chance
       ■ Counting-Based
        : LFU, MFU

  • 스레싱
     : 계속하여 페이지 결함이 발생하는 현상을 스레싱이라 한다. 실행하는 시간보다 페이지 결함을 처리하는 시간이 더 많아지면 이 현상이 발생하였다고 한다.
     : 프로세스에 할당된 프레임 수가 필요한 최소의 프레임 수 이하로 내려가면 스레싱 발생
     : 다중 프로그래밍 정도 <-> CPU 사용 효율, 반비례 관계
     : 지역성 모델(locality model): 이 모델에 의하면 프로세스는 실행되는 동안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지역이란 현재 활동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말한다. 현재 프로세스의 지역을 수용할 수 있는 만큼의 프레임을 할당해주면 스레싱은 발생하지 않는다.
     ■ 작업 집합 모델 
      : 지역성 가정에 기반한 모델



'Major > Operating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영체제 - Memory Management  (0) 2015.11.11
운영체제 - Deadlock  (1) 2015.11.11
운영체제 - Process synchronization  (0) 2015.11.10
운영체제 - CPU schedulering  (0) 2015.11.10
운영체제 - Thread  (0) 2015.11.10

+ Recent posts